플랫폼이란
플랫폼이란 공급자와 수요자 등 복수 그룹이 참여해 각 그룹이 얻고자 하는 가치를 공정한 거래를 통해 교환할 수 있도록 구축된 환경이다.
//기차가 다니는 정거장이 생각나게 하는 플랫폼은 어떤 공통적인 구조가 될 수도 있고 어떠한 다른 서비스와 연계를 도와주는 기반 서비스도 될 수 있는 다양한 포괄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다.
플랫폼에서의 '개방성'은
1) 플랫폼을 개발하거나 상업화하는데 있어서 아무런 제약을 두지 않는 것
2)어떤 제약이 합리적이면서도 차별없이 모든 잠재적 플랫폼 참여자들에게 균등하게 적용되는 것
개방형 플랫폼 장단점
장점: 많은 사람들의 참여로 인해 무궁무진한 발전을 빠른 시간 내에 이룰 수 있다.
개방형 플랫폼을 이용하여 많은 시간과 비용을 아낄 수 있다.
사용자의 입맛에 맞게 변형하여 사용 할 수 있다.
다양한 사업자들의 참여로 보지 못했던 새로운 사업이 만들어질 수 있다.
단점: 보안이 취약하다.
불량 사업자에 대한 제제나 보호조치가 어렵다.
ex) MS, 안드로이드, T store
폐쇄형 플랫폼 장단점
장점: 폐쇄적이기 때문에 개방형 플랫폼 보다는 보안이 안정적이다.
폐쇄적으로 인해 불량품이 존재하지 않아 품질이 뛰어나다
단점: 다양한 옵션이 존재하지 않는다.
개방형 플랫폼보다 발전 가능성이 무디다.
호환성을 찾기 힘들다.
EX) 애플, 카카오게임
나의 생각:
구글(개방형 플랫폼)과 애플(폐쇄형 플랫폼)의 대결이나 T store(개방형)과 카카오게임(폐쇄형)의 대결처럼 누가 더 낫다고 정확하게 판단할 수는 없는거 같다. 개방형 플랫폼은 개방형답게 개방적이어서 많은 사람들이 참여할 수 있고 그것으로 인해 뭔가 새로운 형태의 사업이나 아이디어가 나올 수 있는 점에서 개방형 만의 장점이 존재한다. 폐쇄형 플랫폼은 폐쇄적이지만 제조사의 일관된 UI나 시스템으로 제조사의 추종자들을 만드는 좋은 역할도 한다. 개방형 플랫폼은 보안이 취약하다는 단점이 존재하고 폐쇄형 플랫폼은 장점으로 보이는 일관된 UI나 시스템으로 인해 어떠한 아이템이나 사업에 대해 지루함을 느낄 수 있다. 하지만 만약 소비자의 입장으로 봤을때 폐쇄형보다는 더욱 많은 발전을 이루어 소비자들에게 다양한 옵션과 새로운 기술들을 줄 개방형 플랫폼이 더욱 좋을 것 같다.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THT 과제: LG의 인공지능 관련 제품 전략 조사하기 (1) | 2018.09.17 |
---|